-
팬데믹 이후, 미국의 재택근무 전망은?(Remote,Hybird)영어뿌시기 2025. 2. 1. 20:57
재택근무(Remote Work)는 한국에서도 팬데믹 이후로 급격히 증가했다. 하지만 재택근무는 일부 대기업과 트렌드에 민감한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마 원격으로도 충분한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는 업무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에 LA에 사는 친구와 재택근무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에서 마케터로서 일을 하고 있는 이 친구는 '하이브리드 근무'를 하고 있다. 'Hybrid Work'은 'Remote'와는 약간 다른 개념이다. 재택근무가 정해진 시간에 100% 원격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라면, 하이브리드 근무는 출근과 재택을 합친 것이다. 재택근무처럼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팀워크와 협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Hybrid'이다.
중소벤처기업부 대한민국 기업의 99.9%은 중소기업이다. 사실 중소기업에서 재택근무를 기대하는 것은 허락된 특정 업무가 아니라면 쉽지 않을 것이다. 나 또한 대한민국 중소기업에서 열심히 일을 하고 있는 한 청년으로서, 팬데믹 이후로 뉴스와 주위 대기업에 다니는 지인들의 소식을 통해 '재택근무'라는 단어가 익숙해졌지만 사실상 경험해보진 못했다. 더군다나 '하이브리드 근무'는 아예 들어보지도 못했다.
여하튼 현재 '하이브리드 근무'를 하고 있는 이 미국인 친구의 회사는 우리나라로 치면 '중견기업'정도 되는 듯했다. 이 친구 말로는 미국 내에서 'Remote work'은 이제는 너무 흔해졌다고 한다. 곧 유사나헬스사이언스(USANA Health Sciences)로 이직을 한다고 하는데, 유사나는 다른 국가에도 사업을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큰 회사이기 때문에, 이 친구에게는 다른 국가들을 여행하며 원격근무를 진행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문득 궁금해졌다. 팬데믹으로 미국 내에서는 재택근무가 얼마나 활성화가 되었을까?
The rise in remote work since the pandemic and its impact on productivity
The COVID-19 pandemic brought about dramatic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Although 6.5 percent of workers in the private business sector worked primarily from home in 2019, the pandemic was the start of a massive experiment in full-time remote work for
www.bls.gov
작년 10월에 올라온 미국 노동통계국(BLS, Bureau of Labor Statistics)의 자료를 참고해 보자.
재택근무 과연 도움이 되는가?
Although 6.5 percent of workers in the private business sector worked primarily from home in 2019, the pandemic was the start of a massive experiment in full-time remote work for most workers and firms... People often ask: are workers more productive or less productive when working from home? The answer likely depends on several factors...
2020년 세계적으로 팬데믹이 시작되기 직전인 2019년도에는 민간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6.5% 정도의 종사자들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었으며, 풀타임 재택근무에 대한 본격적인 대규모 실험의 시작은 팬데믹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재택근무가 정말 생산측면에서 긍정적으로 기여를 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업무환경, 사용기술, 가정환경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이메일 작성 수, 통화 수, 관리자가 부여한 성과 평가 등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기도 했으며 기업측면에서는 재택근무가 이직률을 감소시켜 고용비용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반면 팬데믹 기간 중 단기적으로 직원 생산성이 감소한 사례 연구도 확인된다고 한다.
재택근무의 효과
ACS(American Community Survey, 미국 커뮤니티 설문조사)에 따르면 2019-2021 기간 중 재택근무가 모든 주요 산업에서 드라마틱하게 증가했다고 한다. 거리두기 정책이 해제되었던 2022년에는 그 수치가 약간 감소했지만 농업, 임업, 어업 등 특정 분야를 제외하고는 2019년과 비교했을 땐 여전히 높은 수치를 유지한다.
총 요소생산성을 뜻하는 TFP(Total factor productivity) 측면에서도 꽤나 긍정적인 모양이다. TFP는 말 그대로 사업 운영을 위한 토탈적인 비용을 뜻한다. 재택근무로 인해 오피스 임대비용 등 유틸리티 비용이 감소했기 때문에 노동자들의 생산성이 동일하더라도 기업의 비노동 투입이 줄어 TFP가 증가할 수 있다. 때문에 원격근무자를 활용한 비즈니스가 굉장히 많아졌고, 사업 확장에 있어 역시 큰 효과를 보았다.
원격근무가 가장 많이 늘어난 상위 10개의 업종 데이터를 확인해 보면, 원격 근무자의 비율이 증가한 대부분의 산업에서 노동력 투입보다 더 많은 생산성을 확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민간 비즈니스 부문의 61개 산업에서는 원격 근무자 비율이 증가함에 있어 꽤나 긍정적이다. 이는 재택근무가 많은 산업에서 단위 비용, 특히 비노동 비용이 덜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면 이러한 생산성 향상은 근로자에 대한 보상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 생산성 향상은 잠재적으로 근로자의 임금 및 복리후생 증가, 제품 또는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업의 투자 확대, 수익 증가, 소비자 가격 인하로 이어질 수 있다.
Return to In-Person Work – The White House
Heads of all departments and agencies in the executive branch of Government shall, as soon as practicable, take all necessary steps to terminate
www.whitehouse.gov
2025년 트럼프 정권이 재집권함으로써, 소위 공무원들의 대규모 사무실 복귀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뉴스를 보면 미국 내 유명 기업들 역시 이 흐름에 맞게 다시금 사무실 출근을 준비하고 있다고 하는데, 내 생각에는 원격근무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본 특정 업종에서는 오히려 원격근무자 비율이 더 증가하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하이브리드, 나도 하고 싶다.
재택근무 (Remote Work)
Remote Work
TelecommutingWork from Home (WFH)
Virtual Work
하이브리드근무 (Hybrid Work)
Hybrid Work
Hybrid Working Model
Blended Work
Flexible Working대면근무 (On-site Work / In-person Work)
On-site Work
In-person Work
Office Work
'영어뿌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용구]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관용어(Idiom) 그리고 슬랭(Slang) (1) 2025.01.20 [관용구] 효과적인 표현 방법, 관용어(Idiom) (0) 2025.01.10 [전치사] For 용도 이해하고 느껴보기 (4)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