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관세전쟁, 미국vs캐나다 Part.2 (feat.트럼프)영어신문 2025. 3. 22. 17:10
트럼프의 두 번째 임기가 시작되자마자 미국 중심으로 세계는 긴장하고 있다. 내가 가장 흥미롭게 보는 부분은 바로 북미의 상황이다. 캐나다와 멕시코 이 두 국가는 미국과 국경을 두고 마주하고 있는 이웃국가로서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미국과 가장 밀접해있는 국가이다. 최근 미국의 북미관세발표에 대해서 가장 반발이 심한 국가는 아마도 캐나다일 것이다. 요즘 핫한 ‘관세’ 이슈, 한눈에 정리하기 Part.1 (feat.트럼프)트럼프 행정부 2기가 시작되면서 Tariff(관세) 키워드는 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로 자리잡았다. 우선 나에게 세계 경제에 이토록 관심을 갖게 해준, 지금도 기자들 앞에서 얼굴을 붉히며 외치고naguene96.tistory.com2주 전, 관세이슈를 정리해 놓은 첫 번째 포스팅을 먼저 ..
-
요즘 핫한 ‘관세’ 이슈, 한눈에 정리하기 Part.1 (feat.트럼프)영어신문 2025. 3. 9. 16:33
트럼프 행정부 2기가 시작되면서 Tariff(관세) 키워드는 세계적으로 뜨거운 이슈로 자리잡았다. 우선 나에게 세계 경제에 이토록 관심을 갖게 해준, 지금도 기자들 앞에서 얼굴을 붉히며 외치고 있을 세계 각국 정상들과 관료들께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자 한다. 관세에 관한 해외 기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본적인 영단어들은 글 맨 하단에 정리해놓았다. 관세의 종류관세는 국가 간 수출 또는 수입되는 물품에 매겨지는 세금을 말한다.종류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수입세(수입관세=Import Tariff), 수출세(수출관세=Export Tariff)'Duty' 역시 세금을 표현하지만 주로 무역에서 사용되는 'Tariff' 보다는 작은 의미로써 특정 서비스나 상품에 사용된다. 수입세(수입관세=Import Tariff)..
-
팬데믹 이후, 미국의 재택근무 전망은?(Remote,Hybird)영어뿌시기 2025. 2. 1. 20:57
재택근무(Remote Work)는 한국에서도 팬데믹 이후로 급격히 증가했다. 하지만 재택근무는 일부 대기업과 트렌드에 민감한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마 원격으로도 충분한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는 업무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에 LA에 사는 친구와 재택근무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에서 마케터로서 일을 하고 있는 이 친구는 '하이브리드 근무'를 하고 있다. 'Hybrid Work'은 'Remote'와는 약간 다른 개념이다. 재택근무가 정해진 시간에 100% 원격으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라면, 하이브리드 근무는 출근과 재택을 합친 것이다. 재택근무처럼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팀워크와 협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Hybri..
-
[영어신문]트럼프는 김정은을 다시 만날 수 있을까?영어신문 2025. 1. 25. 21:09
지난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들이 마주하던 때가 있었다. 당시 트럼프는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후, 한국으로 와 비무장지대에서 김정은을 만난다. 그렇게 트럼프는 북한의 영토에서 북한의 지도자를 마주한 미국의 첫 번째 대통령이 되었다. 당시 세계 모든 언론이 라이브로 중계를 할 정도로 파격적인 행보였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굉장히 인상 깊었던 장면들의 연속이었다. 정상들의 회담이 이루어지는 중계를 보면서 어쩌면 이것으로 남북통일의 기초가 될 수도, 통일까지는 아직 섣부르더라도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기대는 품어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며 지켜보던 기억이 난다. 2025년 트럼프는 또 다시 미국 대통령으로서 백악관에 자리를 하게 되었다. 그동안 트럼프는 지난 김정은과의..
-
[영어신문]노벨문학상 그리고 또 다른 격동의 시기를 지나고 있는 대한민국영어신문 2025. 1. 22. 23:22
해외 언론에서는 여전히 대한민국 계엄령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에 대한 이야기를 찾아볼 수 있다. 요즘에는 세계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듯 보이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도 나에겐 미국 정치에 관련한 소식은 굉장히 가깝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오늘 뉴욕타임즈를 보다가 이번에 재집권한 트럼프 정부의 기사들 사이로 한국에 관한 흥미로운 기사가 껴있었다. 지난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한국인에게도 정말 큰 기쁨을 준 '한강' 작가에 대한 기사였다. 내가 더 흥미롭게 읽은 이유는 단순히 '한강' 작가에 대한 기사는 아닌 듯했기 때문이다. 한강 작가 작품에 대한 이야기 뒤편에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을 동시에 엮고 있었다. 지난 12월 대한민국에 큰 소동이 있기 직전, 10월에..
-
뉴욕타임즈 무료로 보는 방법(1분만 투자해요)영어신문 2025. 1. 22. 18:16
해외 언론을 주목하는 이유는 우리가 굳이 구글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사실 국내 언론에서 접하는 정치나 사회 등 대부분의 세계 소식들은 해외언론에서 먼저 보도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국내 언론을 통한 정보도 도움이 되지만 해외 언론을 참고할 수 있다는 것은 독자들로 하여금 더 넓고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외 언론사들의 그 규모는 꽤나 커서 방대한 카테고리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신문이나 뉴스를 즐겨보는 이들에게 팟캐스트나 해외 언론은 꽤나 흥미진진할 법하다. 한국 언론과 마찬가지로 세계가 주목하는 미국 언론사들조차도 어느 정도 편향적인 면들이 있다. 그러한 이유로 나는 좀 더 다양한 스피커들을 통해 이야기를 듣는 것을 선호한다. 이것은 내..
-
[관용구]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관용어(Idiom) 그리고 슬랭(Slang)영어뿌시기 2025. 1. 20. 19:16
해외 시리즈나 영화를 시청할 때면 실제로 관용어(Idiom)가 자주 사용된다. 원어민과 대화할 때 역시 항상 듣게 되는 Idiom과 Slang사이에서 나는 다소 혼란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한 표현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나를 위해, 원어민들은 몇 음절 안 되는 Idiom을 굳이 풀어 정직하게 몇 줄의 설명과 함께 이해를 도와준다. 그들의 배려에 나는 감사함을 느끼기도 하지만 실생활 영어표현을 이해하기 위해선 단순히 교과서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알게 된다. 내가 영어를 배우는 목적은 타 문화권의 원어민들과 원활히 대화하고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싶기 때문이다. 그러기 위해선 Idiom(관용어)과 Slang(속어)을 아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고 판단했다.Idiom(관용)은 우리가 교과서에 볼 수 있는 완전한 문..
-
[관용구] 효과적인 표현 방법, 관용어(Idiom)영어뿌시기 2025. 1. 10. 19:03
한국어로 대화를 할 때, 우리는 알게 모르게 다양한 관용어를 섞어 소통을 한다. 열 마디 설명보다 한마디의 관용어(Idiom)가 오히려 표현에 있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영어도 마찬가지다. 관용구는 대화를 좀 더 자연스럽고 풍부하게 만든다. 다만 상황에 맞는 표현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포멀하고 중립적인 관용어는 비즈니스를 위해 주로 사용되며, 일상 회화에서는 캐주얼한 관용어가 주로 사용된다.Casual Idiom Break the ice어색한 분위기를 깨다We played a game to break the ice at the party.우리는 파티에서 어색한 분위기를 깨기 위해 게임을 했다. Hit the nail on the head정곡을 찌르다You really hit the nail on..